9. 용호비결의 미스터리 "주천화후"
용호비결의 미스터리 "주천화후"
정법 선도에서 주천이란 진기가 기경팔맥으로 순환되는 상태를 말하고, 화후란 호흡법을 말합니다. 주천화후를 한단어로 사용하면 주천을 하기 위한 호흡법을 뜻합니다.
북창은 축기와 운기를 구별하지 못하고 눈을 이용한 의념주천을 (폐기라는 것은 눈을 깃발로 삼아) 폐기(축기)라고 규정 한 것처럼 주천화후라는 용어도 이상하게 사용합니다. 북창의 주천화후는 주천을 하기 위한 호흡법을 설명하는 것이 아니고, 대부분 기경팔맥이 개통되는 소주천이 되면서 생기는 기감이나 증상을 설명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사이비들은 북창의 주천화후가 소주천의 증상인 것을 모르고 대주천의 다음 단계쯤 되는 높은 수련과정?으로 추측하고 있습니다. 도화재의 수련단계를 보면 소주천 과정인 '전신주천'을 대주천 과정보다 훨씬 윗 단계에 높여 놓고 있는 것도 같은 이유입니다.
즉, 정법 소주천을 경험하지 못했기 때문에 기경팔맥을 개통하는 소주천을 하면서 생기는 전신주천의 증험을 모르기 때문입니다. 또, 오랜동안 용호비결의 폐기를 해도 아무도 '주천화후'를 경험하지 못하는 의문을 그렇게(아주 높은 단계라고) 속이고 있는 것입니다.
용호비결을 정법선도로 제구성하면 총론의 폐기로 축기가 충분하게 되면 소주천이 시작되어 각론의 주천화후에 나오는 증험이 나타납니다.
"좌우의 두 신장이 끊는 물에 삶는 것같이 뜨거워서"
"허리로부터 아래쪽이 평상시와는 달리 시원하게 느껴진다."
"몸이 화평해지고 땀이 촉촉히 나면서 온몸의 모든 맥이 두루 돌게 되니"
용호비결의 폐기법이나 오행연기법으로는 아무리 잘해도 나타나지 않는 증상이며, 땀을 많이 흘리게 만들고 뜨거우면서도 시원하게 느껴지는 정법 소주천의 증상입니다. 단전에서 생성되는 정법수련의 진기는 음양 합일의 기운이라서 수련과정에 따라 뜨겁기도 하고 시원하게 느껴지기도 하는데, 특히 소주천 과정에서 음양의 변화가 잘 나타납니다.
참고
1. 신장이 뜨거워지는 증상은 (호전)명현현상이며, 나이 들고 원기가 많이 손상된 사람들에게 잘 생기고, 선천기의 소모가 적은 젊은 사람들에게는 생기지 않습니다.
2. 소주천 초기에는 독맥은 뜨겁고 임맥은 시원하며, 등쪽은 따뜻하고 가슴쪽은 시원해집니다. 수련이 더 발전하면 온몸이 뜨거워지다가 온몸이 시원해지기도 하고, 몸의 좌측은 뜨겁고 우측은 시원하며, 몸의 위쪽은 뜨겁고 아래쪽은 시원해지기도 합니다.
3. 젊은 사람들은 아랫배에 복압력이 생기는 지식호흡이나 강호흡 등 사이비수련을 해도 수련초기에는 선천기가 유통되면서 독맥이나 몸의 일부에서 일시적으로 뜨거움이 발생합니다.
"상하 단전이 물을 대듯 어울려 끝이 없는 고리 모양으로 둥근 형상을 이룰 것이니 다만 이 단전의 불기운을 따뜻하게 길러 잃지 아니하면"
정법 선도수련을 통하여 임독맥으로 진기가 잘 유통 되고 있는 것을 '상'으로 보는 경우입니다. 정법수련에서 상을 보는 것은 좋은 현상으로 보지 않고 있으며, 모두가 이와 같은 상을 보는 것은 아닙니다.
"백 가지 맥이 자연스럽게 유통되고 삼궁의 기운이 자연스럽게 오르내리게 될 것이니"
기경팔맥을 전부 개통하여 전신주천을 이루고, 충맥을 통하여 삼궁(니환궁. 중궁. 미려궁) 즉 상.중.하단전으로 진기가 오르내리는 것을 표현한 것으로 소주천을 완성한 사람만이 느낄 수 있습니다.
용호비결의 수련을 한다면서 지식호흡, 의념주천, 음기수련, 오행연기법 등의 수련을 하는 사람들에게는 위와 같은 기감이나 증상은 생길 수 없습니다. 실제로 한국식 수련법이나 용호비결을 내세우고 수련을 하는 단체들의 질의.응답이나 수련기를 쓴 사람들이 이와 같은 이야기를 하는 경우는 없었습니다. 즉, 수많은 사람들의 오랜 경험으로 용호비결의 공부로는 주천화후을 할 수 없다는 것이 이미 증명되었습니다
저런 기감이나 증상이 나타나려면 기경팔맥을 개통하는 정법 선도수련의 소주천을 해야 합니다.
만약 북창이 위와 같은 증상이 생기는 소주천을 했다면 수명이 연장되어 요절하지는 않았을 것입니다. 또, 북창이 용호비결에서 "주천화후라는 것은 열기가 온몸을 도는 것을 말하는 것에 불과하다" 라는 상반된 헛소리를 한 것을 감안하면, 자신은 정법 소주천의 증상이 나타나는 주천화후를 직접 경험하지 못했다는 뜻입니다. 그러면서 소주천의 기감과 증상을 어떻게 알게 되었는지 의문이 생깁니다.
북창은 정법선도를 하는 사람을 알고 있었거나 정법선도서를 본 사실이 있을 것입니다. 그러나 그는 정법과 인연이 없어서 사이비선도를 했고, 주천화후(소주천의 증상)는 정법선도의 것을 채택한 것입니다. 요즘에도 사이비들은 수진선원의 수련법 중에서 자신들이 필요한 부분을 인용하지만 그런다고 정법수련이 되지는 않습니다.
일부 사이비들은 인도의 쿤달리니 요가와 밀교의 중맥수련을 정통 선도수련과 뒤섞어 놓은 기괴한 수련법을 창조하고, 한국식 수련법에 실망한 사람들을 유혹하여 돈을 벌고 있습니다. 고서에도 정법은 하나이고 사법이 3천개라고 했습니다. 선도수련은 인연이 있어야 정법을 (알아 보고) 만나고, 복이 있어야 진사를 (좋은 스승) 만나 높은 경지를 이룰 수 있습니다.
북창은 선도와는 인연도 없고 복도 없는 사람입니다. 단지 명상으로 얻은 초능력 때문에 자만심이 폭발하여 선도 초보자가 용호비결이라는 사이비 선도서를 쓰고는 본인은 요절하고 후손도 끊기게 됩니다. 그러나 용호비결의 저주는 계속되어 오늘날에도 수많은 사이비 도사와 기공병 환자를 양산하여 선도계는 사회악의 소굴이 되었습니다.
참고
본인이 요절 직전이라는 것도 모르고 남의 요절을 걱정하는 북창의 선도 역사상 최고의 (넌센스) 개그
"처음 손댈 방법을 알지 못하여 장생을 얻으려다가 도리어 요절하는 사람이 많았다" (출처: 용호비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