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진실/수련담론

2. 소주천 경로 이야기

라병금 2022. 10. 15. 09:40

                           

 

                                                 1. 수진선원                     2. 혜명경                      3.국선도 

----------------------------------------------------------------------------------------------

                           

                                                           4.진각종의 관음밀주도

 

-----------------------------------------------------------------------------------------------

 

 

                                    

                                                                     5.성명규지의 관음밀주도

  ----------------------------------------------------------------------------------------------

                         


                                                                     
6. 현도학회의 소주천 경로

==============================================================

 

      

1.수진선원의 소주천 경로입니다.

 

2.중국의 전진교 용문파의 조사인 유화양이 쓴 '혜명경'이라는 책에 나오는 소주천 경로입니다. 일반적으로 소주천의 기운이 미약할 때 윗 그림처럼 귀 뒤로 내려옵니다.

 

 3. 국선도의 임독 유통도입니다. 그림이 혜명경과 비슷하기도 하고, 소주천의 경로가 얼굴의 임맥으로 내려오지 않고 귀 뒤로 내려오는 특징도 똑 같습니다.

 

4. 한국불교의 밀교 교단인 진각종의 관음밀주도라고 합니다. 원전은 티벳에서 나온 것이고 진각종에서 개량되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5. 중국 당나라 말기 윤진인이라는 사람이 쓴 성명규지에 나오는 소주천 경로입니다. 관음밀주도를 개량한 것이 한눈에 보입니다. 소리(옴마니반메훔)로 주천이 될 수는 있지만, 이런 경로의 기맥은 없습니다. 또, 일반적으로 선도단체에서는 주문을 배척하기 때문에 성명규지를 정법으로 인정하지 않고 있습니다. 

 

6.현도학회의 소주천 경로입니다. 연정원의 권태훈이 관음밀주도에서 종교적인 색채를 빼고 변형시킨 것으로 보입니다. 연정원에서 파생된 단체들은 아랫배에 단전이 2개가 있다는 어처구니 없는 주장을 하면서 각 단전의 역할을 설명한 적이 없습니다. 

 

배꼽도 단전이고, 그 아래에 또 '하단전이 있다'는 주장은 중국 도가의 일파에서 유래한 것입니다. 조선 시대에는 중파와 천봉파가 이를 따랐으며, 용호비결도 그 영향을 받아 하수처가 2개입니다. 중국계 태일도 원극공은 지금도 이 견해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참고: 용호비결 비판 3, 용호비결에 하수처가 2개인 이유

 

또, 단체마다 조금씩 다른 주천의 경로는 기본적으로 관음밀주도와 유사하며, 중요한 점은 위와 같은 경로의 기맥은 인간의 몸에는 존재하지 않습니다. (이런 소주천 경로를 주장하는 단체는 성명규지처럼 임독맥 주천을 부정하거나, 대주천으로 규정하기도 합니다.)

 

제미있는 사실은, 연정원 계통의 단체는 대부분 성명규지와 같은 소주천(오행연기법)과 주문 수련을 하면서도 자신들의 정체성을 용호비결에서 찾고 있습니다. 

 

그러나 정작 용호비결에서는 의념으로 임독맥 주천을 하고 있으며, 주문 수련은 전혀 근거를 찾아 볼 수 없습니다. 말로는 용호비결 수련을 한다면서 실제로는 중국의 사이비 선도인 성명규지 방식의 수련을 하는 것입니다.

 

참고 

 

1. 주천하는 기운의 힘이 충분하면 얼굴 정중앙의 임맥으로 내려오고, 약하면 이마에서 갈라져 코 양옆으로 내려오고, 더 약하면 양쪽 귀 뒤로 내려옵니다. 주천의 기운이 너무 약하면 독맥의 대추혈에서 갈라져서 어깨를 타고 가슴으로 내려와 합쳐집니다.

 

2. 주천하는 기운이 임맥을 벗어나 중도에서 양쪽으로 갈라져 내려오는 것은 명백한 임독유통(기맥청소 개념)입니다. 그러나 수련을 잘하면 임독유통도 임독개통을 할 때처럼 얼굴 정중앙의 임맥으로 내려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