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도실/수진비결 요약

2. 음교법이란 무엇인가

라병금 2022. 10. 14. 08:58

음교혈 호흡이라고도 한다.

선골법에서 임독유통을 이루고 난 다음에는 음교법을 하게 된다. 


 

 1)음교혈의 위치

  회음혈에서 한치 위의 공간에 있는 혈을 음교혈이라 하고 한방이나 인체상의 혈이 아니며 선가나 도가에서 쓰는 혈로서 일명 허위혈이라 한다.

 

 음교혈은 회음에서 한치 위에 있는 혈이다. 이를 관하는 것이 어려울 경우 이를 찾기 위해서는 의식을 하단전에 깊숙이 내리는 것이 필요하다. 

 

항문을 조여서 힘이 모이는 곳에 탁구공을 올려놓는다고 상상하는데, 이 탁구공이 놓여 있는 곳이 음교혈에 해당된다. 위치를 잡는 것이 힘든 경우 회음혈에 의식을 두고 호흡을 해도 무방하다.

 

 2)수련방법

 음교혈 또는 회음혈에 의식을 두고 호흡을 한다.  의식과 청각은 음교혈에 두고 음교혈에서 생각하고 듣는다는 마음으로, 시선은 음교혈 또는 회음혈을 들여다본다. 

 

무심한 마음으로 들여다보고 있다가 열기나 변화 즉 기틀(일명 일양)이 일어나면 이를 잡고 부드럽게 호흡을 시작한다.

 

 음교혈이 개발되면 임독맥이 열리며 대맥, 충맥 등 기경팔맥의 개통이 시작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