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 10. 14. 09:06ㆍ선도실/수진비결 요약
어떻게 호흡하나(화후법)
1. 호흡법의 원리
호흡을 시작할 때 먼저 빛(마음)을 렌즈(눈)로 모아서 단전(초보자는 선골)에 비추면, 즉 마음을 단전에
두고(집중) 무심하게 관(觀)하고 있으면 열기나 어떤 변화(기틀)가 일어난다. 이때 이를 잡고 호흡을 시작한다.
호흡은 먼저 부드럽고(고르며, 조용하게) 미세하게 시작해서 점점 가늘고 깊고 길게 이어가다가 다시 부드럽고 미세하게 끝낸다.
2. 호흡법의 개념
수련 중에 몸의 어느 부위에 의식을 집중시키는 것을 의수(意守)라고 하는데, 그 목적은,
1)입정상태에 도달하기 위함이며,
2)화력(火力)의 강도 조절을 하기 위해서이다.
단전에 대한 의수의 강도 조절을 화후(火候)라고 한다. 화후는, 원래 화력 조절을 가리키는 연단술 용어로, 의식(神)을 불에 비유하는 데서 생긴 말이다. 물론 화후에는 풀무질로 비유되는 호흡의 강도 조절도 포함된다.
단전호흡은 의식 집중의 유무에 따라 유위법(有爲法)과 무위법(無爲法)으로 나누며, 의식 집중의 강도에 따라서는 문식(文息)과 무식(武息)으로 나눈다.
온화하고 느린 흐름과 함께 의수를 약하게 조절하는 호흡을 문식이라고 하며, 문식으로 인해 일어난 불을 문화(文火)라 한다. 무겁고 빠른 흐름과 함께 의수를 강하게 조절하는 상태를 무식이라고 하며, 무식으로 인해 일어난 불을 무화(武火)라 한다.
문화는 온양(溫養)하는 작용이 있어 기를 기르는데(養氣) 적합하며, 무화는 발동하는 작용이 있어 기를 단련하거나(煉氣), 운행(運氣)하는데 적합하다.
목욕(沐浴), 온양(溫養), 봉고(封固)하는 화후는 불길의 증감이 없이 그대로 지키며 문화로써 유지한다.
일반적인 모든 화후의 과정
1)문화로써 시작하여 불을 피우고,
2)무화로써 단련하고, 주천을 행하는데,
3)기를 운행하다가 막힌 혈(穴)에서는 문화로써 온양. 목욕하거나 지식으로 막힌 혈을 뚫어 주며,
4)무화로써 계속 주천을 행하다가,
5)퇴화하기 시작하면 문화로써 봉고하고 끝낸다.
3. 호흡의 실제
1)호흡 연습
균정체조 17번 동작이나, 쪼그려 앉았다가 일어서는 동작을 반복하면서 연습한다. 이 때 머리를 숙이거나(균정체조) 쪼그려 앉을 때 아랫배를 등쪽으로 힘껏 오므리면서 숨을 내쉬고 상체를 세우거나 일어서면서 숨을 들이쉰다.
2)호흡 방법
호흡은 먼저 가볍게 내쉬며 배를 명치 부위에서부터 하복부 쪽으로 내려가면서 부드럽게 등 쪽으로 오므린다. 숨을 다 내쉬고 나면 항문을 가볍게 오므리면서 숨을 부드럽게 들이쉬는데, 아래배. 윗배. 가슴을 순서대로 (오므린 만큼) 부풀리며 들이쉰다.
호흡길이는 자신이 평소하는 호흡의 2배 정도가 알맞다.
'선도실 > 수진비결 요약' 카테고리의 다른 글
7. 입정이란 무엇인가 (0) | 2022.10.14 |
---|---|
6. 관법 (0) | 2022.10.14 |
4. 연단(연정화기)의 원리 (0) | 2022.10.14 |
3. 기혈법이란 무엇인가 (0) | 2022.10.14 |
2. 음교법이란 무엇인가 (1) | 2022.10.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