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진실/용호비결 비판 3(5)
-
5. 용호비결의 단전이 인체의 표피에 있는 이유
용호비결의 단전이 인체의 표피에 있는 이유 도가 내경도(출처: 기센터 - 기공명상)1) 도가 내경도는 몇가지 종류가 있는데, 윗 그림은 도가의 2개 문파인 전진도와 태일도의 견해를 종합한 것이라고 합니다. 내경도를 해석하기 어렵게 만든 이유는 선도의 비밀을 공개하는 것은 천기누설이라는 생각이 작용했기 때문일 것입니다.2) 내경도에는 기경팔맥처럼 '성장하면 닫혀서 사라진다' 라고 주장하는 내공선이 있습니다. 수명선, 보명선, 장력선, 성선, 반사선, 단선 등 6개가 있는데 인위적으로 조작한 느낌이 듭니다. 그 이유는 기경팔맥을 개통하는 기감은 누구나 느끼는데 지금까지 내공선이 ..
2024.10.09 -
4. 용호비결에 하수처(단전)가 2개인 이유
용호비결에 하수처(단전)가 2개인 이유 도가 내경도(출처: 기센터 - 기공명상)참고: 도가 내경도는 몇가지 있는데, 윗것은 전진도와 태일도의 견해를 종합한 것이라고 합니다. 임독맥의 주천경로는 전진도의 것이고, 6개 내공선과 표피에 있는 단전의 위치는 태일도의 견해로 추정됩니다. 왜냐하면 전진도 용문파의 조사인 유화양의 혜명경에는 아랫배 중앙근처에 단전이 하나인 임독맥 주천도가 나오기 때문입니다. ---------------------------------------------------------------------------------------------------------- ..
2024.09.13 -
3. 용호비결은 왜 연정화기와 기경팔맥을 모르나
용호비결은 왜 대약을 부정했나 무협소설이나 만화에도 잘 나오는 "단전"과 "연정화기", "기경팔맥", "소주천"이라는 선도용어는 모르는 사람이 없을 정도지만, "단전에서 연정화기로 생성된 진기로 기경팔맥을 개통하는 소주천을 이룬다"는 사실을 경험하고 믿는 사람은 극소수입니다. 그 이유는 국내의 많은 단체들이 믿고 따르는 용호비결 때문입니다. 용호비결에는 온갖 중국식 선도용어가 난무하지만 단전호흡을 경험하지 못한 사람들도 알고 있고 또, 선도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연정화기와 기경팔맥이라는 용어는 없습니다. 그 이유는 북창이 하단전에서 이루어지는 연정화기를 모르고 몸 외부에서 들어오는 왈 '우주의 정기'를 모으는 것을 축기로 알고 있었기 때문입니다.그 기운은 단전에서 생성되는 진기와는 다른 음기(탁기..
2024.03.13 -
2. 용호비결의 저자는 몇명인가?
후인의 첨삭인가 북창의 오류인가? 용호비결의 수련자세에 의문을 제기하니까 '수레바퀴 자세는 후인이 첨삭한 것'이라고 주장하는 사람도 있었습니다. 또, '오행연기법'은 용호비결에는 없는 수련법이라고 지적하면, 죽은 북창의 속마음을 읽어내는 타심통이 있는지 용호비결에서는 일부러 숨겨둔 것을 공개하는 것이라고 거짓말도 합니다. 아래 제시된 것들은 사이비들이 북창과 자신들이 만든 엉터리 수련법을 정당화하기 위한 '첨삭'이나 '거짓말' 수준이 아니고, 북창과는 전혀 다른 생각을 갖고 있는 사람들이 용호비결의 저작에 공동으로 관여한 것으로 보입니다. 1. 내단(대약)을 부정하는 내단수련법"수단의 도는 지극히 간단하고 쉬운 것이지만, 이제 그에 관한 책이 소나 말에 가득 실어도" "기식 가운데에서 단을 수련해..
2024.02.28 -
1. 용호비결을 배신한 북창의 제자들
용호비결이 사이비 수련서라는 점을 고발한 권태훈"항상 신과 기로 하여금 배꼽 아래 한 치 세 푼의 자리에 있는 단전에 서로 머물게 하라" (출처: 용호비결) 선도 수련은 진기 생성과 축기, 그리고 운기를 하기 위하여 하단전에 시선(눈)과 의식(마음)을 집중하는 점이 명상계통의 수련과 큰 차이가 납니다. 그래서 하단전의 위치를 모르면 선도수련이라고 할 수 없을 정도입니다. 왜냐하면 수련자가 정법선도 수련을 하겠다는 의지가 강해도 눈과 마음이 하단전을 떠나면 사이비선도가 되거나 명상수련이 되기 때문입니다. 북창은 정통 선도문파 출신도 아니고, 기경팔맥을 개통하는 올바른 소주천을 한 경험이 없기 때문에 정확한 단전의 위치를 모릅니다. 그래서 정통선가 사람들이 자신들의 제자가 아닌 사람에게 단전의 정확한 ..
2024.02.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