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정화기(9)
-
23. "정법안장" 눈 속에 감춰진 비밀의 법
"정법안장" 눈 속에 감춰진 비밀의 법 정법안장(正法眼藏)(백과사전) 진리를 볼 수 있는 지혜의 눈으로 깨달은 비밀의 법.(어학사전)석가모니가 세상의 이치를 깊이 깨달은 후, 혼자서 명상을 하며 깨달음의 기쁨을 맛보던 묘법 우리나라의 사전에는 정법안장이 부처가 깨달은 "비밀의 법" 또는 "묘법"이라고 하는데, 불가에서는 그 법이 정확하게 전해지지 않아서 잘 모르는 모양입니다. 정법안장을 글자 그대로 해석하면 "올바른 법이 눈 속에 감추어져 있다"는 뜻으로 해석됩니다. 불가의 위빠사나와 사마타 수련은 물론이고, 간화선을 할 때도 화두에 집중하여 선정에 들어가기 때문에 수련을 할 때 눈의 역할이 중요하다는 이야기는 하지 않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그러나 선가 수련에서는 눈의 역할이 매우 중요합니다..
2022.10.23 -
21. 연정화기와 단전의 위치를 몰라도 잘 되는 사이비 수련
연정화기와 단전의 위치를 몰라도 잘되는 사이비수련 선도에서 "연정화기"란 수련을 통하여 단전에 모인 정을 진기로 변화시키는 작업이며, 축기하는 방법입니다. 즉, 진기란 사이비들이 말하는 몸 외부에서 들어오는 '우주의 정기'가 아니고, 수련자의 몸속 깊숙한 곳의 단전에서 생성된 기를 뜻하는 것입니다.정법 선도수련에서 하단전은 연정화기를 이루는 공장이고, 기를 응축시키고 보관하는 창고입니다. 그래서 정확한 하단전의 위치를 알아야 수련이 잘 됩니다. 왜냐하면 하단전에 눈(시선)과 의식을 집중시키고, 호흡을 통하여 입정에 들어가야 연정화기가 이루어지고 축기가 되기 때문입니다.그러나 우주의 정기를 끌어오는 외도 수련은 단전의 위치 보다는 백회와 임맥의 개통이 더 중요합니다. 그 이유는 우주의 정기는 백회와 임..
2022.10.23 -
20. 동작만으로 축기가 가능한가?
과거에 제가 안티에서 논쟁했던 글의 제목입니다. 일부 기공단체에서는 동작만 잘하면 축기가 이루어지고 기맥이 개통 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이는 하단전에 눈(시선)과 의식을 집중하여야 진기가 생성된다는 '진기 생성의 원리'를 모르기 때문에 생긴 오해입니다. 기공 동작을 정확하게 하면 기맥의 개통은 할 수 있지만 축기가 안되면 개통된 기맥도 얼마 못가서 막히게 됩니다. 따라서 정확한 기공수련은 동작을 하면서 항상 의식을 하단전에 집중하여야 합니다. 기공수련에서, 동작에 맞추어 편안하게 호흡을 하다 보면 저절로 평상시 호흡과는 다른 약간 긴 호흡을 하게 되는데, 이런 정도 길이의 호흡 만으로도 기공수련자는 물론이고 정공의 초보자 호흡으로도 적당한 호흡이 됩니다. 그러나 기공동작을 하면서 단전에 의식의..
2022.10.23 -
32. 선도 수련의 5단계
사람이 태어나기 이전을 선천이라고 하며, 사람이 태어나면 후천이라고 한다. 사람은 선천의 진일지기를 받고 태어나 본시 지극히 선하고 맑고 깨끗하지만, 세상에 나오면서부터 사물의 영향을 받아 이것저것, 좋고 나쁜 것을 분별할 줄 알게 된다. 분별심에서 비롯된 정욕은 마음을 탁하게 하고 탁해진 마음은 사물의 영향으로부터 가만히 있지 못하고 계속 흔들리게 되는데, 이 흔들리는 마음엔 탐심이 가득해진다. 탐심은 우리를 이기주의에 빠뜨려 "더 큰 하나" 가 되는 데 걸림돌이 된다. 결국 분화된 삶을 살다가 탁음으로 인해 한 줌의 재가되는 것이다. 선천기는 생성원리를 갖추고 있지만, 후천기는 불생성의 원리를 갖추고 있다. 선도수련은, 선천의 생성 원리를 깨닫고 이를 실천하여 후천의 생로병사의 길에서 벗어나 영원한 ..
2022.10.18 -
4. 연단(연정화기)의 원리
불은 물질의 차원을 변화시킬 수 있다. 연단법에서는 이러한 불의 성질을 이용하여 수련원리를 세우는데, 이것은 신을 불에 비유하는 데서 연유한다. 돋보기로 빛을 모아 종이에 비추면 불이 지펴지는데, 그와 마찬가지로 의식과 시선을 단전에 고정. 집중하고 고요히 기다리면 기틀이 나타난다.(이 때 기혈에 정이 돌아오게 된다.) 그 후 바람으로 화력을 조절하면서 솥 안에 있는 약물을 삶고 찌는데, 그와 마찬가지로 호흡을 조절하면서 기혈 안에 있는 정을 단련하는 것이 연단의 원리이다. 다시 말하면 연단은 정과 신이 단전에서 일체가 되도록하여 단련하는 것을 말한다. 이 때 발생된 불씨는 선천기이다. 단전호흡이 잘되면 정은 단련되어 진기로 기화하는데, 이 때 발생된 진기는 전신을 운행하여 몸과 마음을 닦아 주고 단전으..
2022.10.14 -
18. 단전에 불이 잘 붙지 않는 이유 (2)
연단의 원리 불은 물질을 변화시킬 수 있다.연단법에서는 이러한 불의 성질을 이용하여 수련원리를 세우는데, 이것은 신(원신. 마음)을 불에 비유하는 데서 연유한다. 다시 말하면 연단은 정과 신이 단전에서 일체가 되도록 하여 단련하는 것을 말한다. 이 때 발생된 기는 선천기이다. (출처: 수진비결) 연단의 원리에 의하면 단전에 불이 활활 잘 타올라야 쉽게 꺼지지도 않고 연단이 잘 됩니다. 단전에서 정과 신이 일체가 되도록 불질을 잘하는 방법은 부엌 아궁이에서 장작에 불을 붙이는 이치와 똑 같습니다. 즉, 종이에 붙은 불을 삭정이를 이용하여 조심스레 장작에 불을 옮겨 붙인 이후에 풀무질을 천천히 점점 더 강하게 하여야 합니다. 종이나 삭정이의 약한 불에 처럼부터 강한 풀무질을 하면 불이 커집니다. 그래서..
2022.1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