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 10. 23. 09:00ㆍ수진실/수련담론
과거에 제가 안티에서 논쟁했던 글의 제목입니다.
일부 기공단체에서는 동작만 잘하면 축기가 이루어지고 기맥이 개통 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이는 하단전에 눈(시선)과 의식을 집중하여야 진기가 생성된다는 '진기 생성의 원리'를 모르기 때문에 생긴 오해입니다.
기공 동작을 정확하게 하면 기맥의 개통은 할 수 있지만 축기가 안되면 개통된 기맥도 얼마 못가서 막히게 됩니다. 따라서 정확한 기공수련은 동작을 하면서 항상 의식을 하단전에 집중하여야 합니다.
기공수련에서, 동작에 맞추어 편안하게 호흡을 하다 보면 저절로 평상시 호흡과는 다른 약간 긴 호흡을 하게 되는데, 이런 정도 길이의 호흡 만으로도 기공수련자는 물론이고 정공의 초보자 호흡으로도 적당한 호흡이 됩니다.
그러나 기공동작을 하면서 단전에 의식의 집중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동작과 호흡을 아무리 잘해도 진기가 생성되지 않기 때문에 축기가 이루어질 수 없습니다.
아랫글은 '정심공'에서 퍼온 글로 기공동작을 하면서 "하단전에 의식을 집중하라"는 의미입니다.
"하단전의 위치는 특정 혈자리가 아니고, 하단전은 하복부에 있으며, 수련이 깊어져 확실히 알게 되기 전까지는 하복부 깊숙한 곳에 임의로 한 점을 정하고 그곳에 집중하면 됩니다. 정심공 입식이나 와식, 또는 호흡수련을 할 때 집중하는 하단전 부위는 모두 같습니다"
일부 단체에서 정공(호흡수련)을 하면서 뜨거움이 느껴지는 곳에 집중하라는 것도 큰 잘못입니다. 왜냐하면, 뜨거움이 느껴지는 곳이 단전이 아닌 경우도 많기 때문입니다.
아무 곳이나 의식을 집중하는 곳에는 기운이 모이기 때문에 더 뜨겁게 느껴질 수는 있지만, 그 뜨거운 곳이 단전이 아니면 진기 생성(축기)이 이루어지지 않습니다.
오직 하단전에서 진기가 생성되기 때문입니다.
'정심공'에서 퍼온 윗글에서도 '집중하는 하단전 부위는 모두 같다' 라고 한 이유는, 기공이든 정공이든 의식이 단전을 떠나면 진기가 생성되지 못하기 때문입니다.
참고 : 정공수련에서는 올바르게 호흡을 하면서 단전에 의식을 집중하면 축기와 운기가 동시에 이루어집니다.
'수진실 > 수련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22. 양신과 음신(장자양과 신유관의 도력 대결) (1) | 2022.10.23 |
---|---|
21. 연정화기와 단전의 위치를 몰라도 잘 되는 사이비 수련 (0) | 2022.10.23 |
19. 인지 부조화(사이비 수련에 빠지는 이유) (0) | 2022.10.23 |
18. 리하르트 빌헤름의 화공주중(回光守中) (0) | 2022.10.23 |
17. 호주 최고의 채널러 카를로스의 진실 (0) | 2022.10.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