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도실/수진비결 요약(35)
-
35. 선도수련의 정의와 양신. 신선
선도(仙道)에서는 기일원론(氣一元論)을 우주관으로 하고 사람을 대우주에 대비되는 소우주로 본다. 그리하여 태초의 우주, 즉 무극(無極)의 상태를 체득하고자 하는 것이다. 사람의 몸은 우주에서 비롯한 태극. 음양. 오행의 원리들이 그대로 체화(體化)된 것인데, 우리의 몸을 완전히 이해하면 그대로 주재자. 우주. 인간을 이해하는 것이며, 이로써 무극을 체득하게 된다는 것이다. 선도는 이 무극을 체득하기 위해서 양신(陽神)을 만들고자 했다. 양신은 무극의 인격적 표현이다. 양신수련을 통해 신선(神仙)이 될 수 있는데, 그는 본질적으로 하늘과 땅의 구애를 받지 않는다. 땅 위에 있으면 지선(地仙)이고 하늘로 비상하면 천선(天仙)으로서 영원무궁토록 삶을 누린다. 생사를 초월하여 무애자재(無碍自在)한 신인(神人)을..
2022.10.18 -
34. 선천기와 후천기
일반적으로 기의 분류에 있어 선천(先天)기는 만유의 근원을 의미하며 그 근원에 의해 생겨난 일체의 물질로 인해 나타나는 기를 후천기(後天氣)라고 한다. 사람이 모태에 잉태되기 이전은 우주가 창시되기 이전의 상태와 그 원리가 똑같다. 태초, 즉 천지가 생겨나기 이전에는 오직 아무것도 없는 고요함 그것뿐이었으니, 이 때를 허무(虛無)라고 한다. 이 정(靜)한 상태가 일단 동(動)한 후에는 온갖 삼라 만상이 이 허무라는 것에서 근본되어 창조되어 가는 것이며, 이 허무를 허무지기(虛無之氣) 또는 선천지기(先天之氣)라 일컫는다. 사람이 임신될 때는 선천의 진일지기(眞一之氣)를 부여받는다. 이 기를 선천일기라고 한다. 그 선천일기 안에는 음양오행의 기운이 포함되어 있다. 이 기는, 손으로 만질 수 있는 형체나 물질..
2022.10.18 -
33. 정. 기. 신이란 무엇인가
선도수련에서는 생명활동의 기본 요소를 정(精). 기(氣). 신(神)으로 하여 수련 체계를 세운다. 정. 기. 신은 무엇인가? 그것은 두 가지 측면에서 살펴볼 수 있다. 첫째는, 작용적인 면이며 둘째는, 상호 관계적인 면이다. 먼저 인체내에서의 작용은 아래와 같이 설명할 수 있다. 정. 기. 신은 선천과 후천으로 나누어 설명하는데, 먼저 쓴 것이 선천이다. 1) 정 : 무형한 생명의 원동력, 신체를 구성하는 생명의 물질적 요소 2) 기 : 생생 약동한 생명의 근원, 호흡의 기 3) 신 : 시공을 초월한 무애 자재한 정신의 빛, 정신 활동 정. 기. 신을 설명할 때는 이렇게 따로따로 설명하지만, 실제에 있어서는 분리할 수 없는 불가분리의 관계를 맺고 있다. 정. 기. 신의 존재방식은, 정이 기화하면 기가 되..
2022.10.18 -
32. 선도 수련의 5단계
사람이 태어나기 이전을 선천이라고 하며, 사람이 태어나면 후천이라고 한다. 사람은 선천의 진일지기를 받고 태어나 본시 지극히 선하고 맑고 깨끗하지만, 세상에 나오면서부터 사물의 영향을 받아 이것저것, 좋고 나쁜 것을 분별할 줄 알게 된다. 분별심에서 비롯된 정욕은 마음을 탁하게 하고 탁해진 마음은 사물의 영향으로부터 가만히 있지 못하고 계속 흔들리게 되는데, 이 흔들리는 마음엔 탐심이 가득해진다. 탐심은 우리를 이기주의에 빠뜨려 "더 큰 하나" 가 되는 데 걸림돌이 된다. 결국 분화된 삶을 살다가 탁음으로 인해 한 줌의 재가되는 것이다. 선천기는 생성원리를 갖추고 있지만, 후천기는 불생성의 원리를 갖추고 있다. 선도수련은, 선천의 생성 원리를 깨닫고 이를 실천하여 후천의 생로병사의 길에서 벗어나 영원한 ..
2022.10.18 -
31. 성명쌍수란 무엇인가
선도수련은 성명쌍수(性命雙修)를 수련의 중심 원리로 한다. 성(性)은 곧 신(神)이자 화(火)이며 마음을 주관하고, 명(命)은 곧 정(精)이자 수(水)이며 몸을 주관한다. 성과 명은 본래 떨어져 있지 않으며 일체양면적이다. 그러므로 선도는 마음과 육체를 함께 닦아 우주와 인생, 생명의 비밀을 깨닫고 초월의 경지, 즉 천선(天仙)이라 불려지는 경지에 오르고자 하는 것이다. 심신일여(心身一如), 이 말은 사람에 대한 기사상(氣思想)이 단적으로표현된 말이다, 몸과 마음이 둘이 아니라 불가분의 관계를 맺고 있다는 동질성 원리는 선도수련에서 중심적 적용 원리이다. 수련하는 사람이 그 도(道)를 성취하려면 먼저 정(靜)으로 들어가는 수련을 쌓아야 한다. 만일 신체적인 것을 중시하지 않고 바로 정으로 들어가려 해도 ..
2022.10.18 -
30. 수심삼요란 무엇인가
수련하는 사람마다 그 목적에는 차이가 있겠으나, 마음을 닦는다는 것에는 차이가 없다. 수련의 성과는 바로 마음가짐에 달려 있다. 그러므로 선수심,후연공의 수련 체계가 수립되는 것이다. 수련 중에 정의 상태에서는 특이한 능력들이 발현되기도 하는데, 수심이 되지 않은 사람들은 절제가 없어 이러한 능력만을 추구 하다가 대도를 잃어버리게 됩니다. 또, 그 때까지의 단련이 모두 헛수고가 되는 것뿐만이 아니라, 그 자리에 탁음이 가득 채워져 더욱더 어둡고 차가운 음도로 빠지게 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예로부터 수련 중에 나타나는 특이 틍력을 발휘하는 것은 금기중의 금기로 여겨왔으며, 수심이 되지 않은 사람에게는 그 법을 전수하지 말라는 불문율이 있는 것이다. 수진비결에서 특별히 강조하는 것은 하심, 긍정심, 부동심등..
2022.10.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