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도실/수진비결 요약(35)
-
17. 상이란 무엇인가
수련 중에 때때로 영상을 보게 되는 경우가 있다. 어떤 빛이거나 색, 또는 어떤 사람이나 물건이 보이기도 한다. 심지어는 어떤 예언적인 사실을 알게 되기도 하여 천안통을 이루었다고 착각하기도 한다. 수련중에 상을 보는 경우는 몇 가지가 있다. 1.상상하여 만든 영상이나, 잠재 의식에서 떠오르는 영상이 있다. 2.기가 뇌신경을 강하게 자극할 때 나타나는 영상이 있다. 3.수련의 진도가 영상으로 나타난다. 4.육안으로 볼 수 없었던 실재의 세계가 보여진다. 이러한 영상들은 천목에 비쳐지는데, 천목은 두 눈썹 사이의 약간 위쪽에서 머리 중심 안쪽으로 두 치 정도 들어간 자리에 있다. 흔히 제3의 눈이라고 말한다. 수련을 잘하여 심신이 고요해지면 천목도 밝아지는데, 천목이 밝아지면 지금까지 육안으로 볼 수 없었..
2022.10.15 -
16. 선도수련의 분류
"단학수련" "단전호흡"은 선도의 다른 이름이다. 선도란 한마디로 신선의 경지에 이르는 길, 곧 선인이 되는 방법을 뜻한다고 할 수 있다. 그래서 신선도라고 부르기도 하는 선도는 성명쌍수를 위주로 하는 수련의 방법 체계이다. 바로 정신과 육체를 함께 수련함으로써 깨달음과 영원한 생명을 추구한다. 이를 위해 선도는 단전. 기맥. 기를 토대로 하여 그 수련 체계를 세워 놓았는데, 이러한 수련법에 관계되는 여러 사항은 안타깝게도 과학적인 면에서 아직도 밝혀지지 않는 것들이 많다. 그러나 선도는 우리나라에서 전통적으로 전해 내려오는 선도사상의 실천적 수련방법이며, 5천 년 이래로 무수한 고선인들의 연구와 체험에 의해 결정된, 고도의 과학적이며 학술적인 심신 수련의 방법 체계라고 말할 수 있다. 수련법은 크게 2..
2022.10.15 -
15. 기의 분류
기는 여러 가지 기준에 의해서 분류될 수 있으나 선도수련에 있어서의 기를 청탁(淸濁)으로 분류, 설명하고자 한다. 선천일기(先天一炁)가 생성하여 후천기(後天氣)가 되고, 후천일기가 변하여 만물이 형성 된다. 선천기는 청탁(淸濁)의 구별이 없으나, 후천기는 청탁(淸濁)의 성질을 띄게 된다. 기는 맑(淸)으면 우리몸에 좋고 탁(濁)하면 우리몸에 좋지 않다. 이를 정리하면 아래와 같다. 청기 (양기) : 순양진기, 순음진기 탁기 (음기) : 신기, 사기 1. 청기(淸氣)는 순양진기(純陽眞氣)와 순음진기(純陰眞氣)로 나누어진다. 순음이 극에 달하면 순양이 되고 순양이 극에 달하면 순음이 된다. 독맥(督脈)으로 타고 올라 갈 때는 순양진기(진양화)라 하며 임맥(任脈)을 타고 내려올 때는 순음진기(퇴음부)라 한다...
2022.10.15 -
14. 채약법
채약이란 단전에 저장된 정을 온양하여 진기로 만드는 과정을 말한다. 이 때 나타난 진기를 약이라고 하는데 이것을 채취하여 주천을 행한 다음 단전에 입실시켜 그 곳에 자리잡도록 한다. 채약 중에서 주요 과정은 불씨 단계,소약 단계, 대약 단계의 세과정이 있다. 불씨 채약의 방법 처음 수련을 시작하여, 수련이 거듭됨에 따라 충만해진 정으로 인해, 차가웄던 몸에 양기가 피어나 손이나 미려혈에서는 따뜻한 기운이 느껴진다. 수련이 지속됨에 따라 양기는 후끈후끈한 열기로 변하고, 열기는 뭉쳐서 뜨거운 덩어리를 형성하게 되는데 이 때가 불씨를 얻을 때이다. 불씨가 있어야 연단법을 시작할 수 있게 되는데, 불씨를 얻는 방법은, 1)고요히 심신을 합일시키고 의식을 단전에 집중하면, 단전에 있던 뜨거운 열덩어리에 최초의 ..
2022.10.15 -
13. 활자시 수련법
자시는 시간상 밤 11시에서 새벽 1시 사이이다. 가장 깊은 밤, 즉 밤이 극에 달하면 하루가 끝나고 새로운 하루가 태동하는 시간으로서 일기가 태동하는 시기이다. 음이 극에 달하면 양이 태동하고 양이 극에 달하면 음이 태동하는데 이것을 음속에 양이 있고 양속에 음이 있다고 한다. 여기서 하루의 자시와 수련자의 자시를 동일하게 생각하면 안된다. 사람은 잠을 잘 때 단전이 움직이기 시작하여 기가 온몸을 청소하여 주므로 피로가 회복되며 내일을 준비하게 된다. 내 몸의 자시는 피로했거나, 가장 고요하게 쉴 때, 다음을 위하여 휴식을 취할 때 무엇인가 새로운 것이 싹트는데 이러한 현상을 활자시라 하고 모든 사람은 자기만의 고유의 자시가 있다. 이것을 강조하기 위하여 진활자시(眞活子時)라 한다. 내 몸의 자시를 찾..
2022.10.15 -
12. 여자의 수련법
음양오행에 남자는 양이고 여자 음이니 소주천을 하는 경우에 '여자는 남자와 반대로 돌려야 한다' 고 주장하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수련이란 무념무상으로 하여야 한다는 기본을 무시하고, 소주천이란 임독맥을 돌리는 것이라는 표현대로 의식적으로 주천을 시키는 등 의념수련을 하는 것에서부터 문제가 발생하는 것입니다, 여자의 수련은, 꼭 필요한 것은 아니지만, 감정을 다스리기 위해 단중에 집중하는 수련을 일정기간 하고나면 남자 수련법과 거의 같은데, 다른 점 만을 설명 하자면, 1.좌공의 자세 결가부좌는, 남자는 오른발을 왼쪽 허벅다리 위에다 먼저 올려놓은 다음 왼발을 오른쪽 허벅다리 위에 올려놓는다. 여자는 그 반대로 합니다. 반가부좌는, 남자는 오른발을 끌어당겨 뒤꿈치가 회음 부위에 닿도록 놓고 왼발을 오른쪽 ..
2022.10.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