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도실/수진비결 요약(35)
-
11. 의념주천이란 무엇인가
생각 즉 의념으로 주천하는 것을 가기, 가주천, 공차를 돌린다고 한다. 공차를 돌려도 건강이 좋아지고 여러 가지 현상이 나타나며 영적인 현상 등이 나타나므로 진기를 돌리는 것과 흡사하다. 심지어 도태까지도 되나 가 임신과 같은 현상이 되어 임신은 되나 아이는나오지 않는 것과 같은 현상이 된다. 정법만 공부가 되는 것이 아니다. 음도도 4신통, 무기정(망아)도 5신통을 할 수 있다. 꼭 정도만 능력이 나오는 것이 아니고 특히 정도는 마지막 관문을 열기까지는 거의 힘을 못쓴다. 왜냐하면 공부자체가 갖고 있는 힘으로 바른 길로 가도록 스스로 보호하여 다른 데로 소모를 못하게 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가장 빠른 것은 마도나 사도이며 이런 종류의 공부는 한가지만 읶혀도 바로 사용할 수 있다. 그래서 사람들이 유혹에..
2022.10.14 -
10. 봉고란 무엇인가
단전호흡이든 준비단계의 기본운동을 하든간에 모든 운동이나 수련의 마무리를 위하여 봉고를 하고 끝마쳐야 한다. 봉고(封固)란 꼭 닫아 지킨다는 말이지만, 그 의미는 불씨가 오래 가도록 잿속에 불씨를 묻어 둔다는 뜻으로 사용된다. 평상시 봉고는 준비운동이나 주천이 끝나고 수련중에 온몸에 퍼저 있는 진기를 기혈에 입실하도록 하기 위하여 문화(文火)로서 고요히 지켜보며 기다려 주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봉고를 폐기(閉氣)라 한다. 폐기란 기운을 닫는다는 의미로서 기가 단전에 머무도록 하는 것이다. 봉고를 할 때는, 단전에 의식과 시선을 집중한 상태로 호흡만 자연호흡으로 바꾸어 주고, 가만히 기다리면 따스하던 손바닥이나 미려혈이 차츰 식어 가면서 기는 단전에 모이게 된다. 봉고는 진기가 완전히 단전에 입실할 수..
2022.10.14 -
9. 정(진정)이란 무엇인가
대부분의 수련자들은,연단법의 연정화기란 말에서 연유하여 인체내에 있는 정이 단을 이루는 모체라고 생각한다. 그렇다면 수련에 있어서 정은 무엇인가? 사람들은 정이라고 하면 일반적으로 정력, 정액 등을 연상한다. 그러나 선가에서 정은 정력,정충,난자를 뜻하지는 않는다. 정은 새로운 생명의 근원이 되는 것이며, 후천적인 정력.정액 등은 진정이 변화되어 만들어진 것이다. 성장기에 있는 어린아이들은 잠자는 동안에 성욕이 전혀 없으면서도 생식기가 함차게 발기되는데. 이것은 진정의 작용이다. 더 자라서 성적 욕구를 알게 된 후에는 생식기가 발기하면 성의 욕구가 일어나게 되기도 하고, 성욕의 충동에 의해 생식기가 발기되기도 하는데, 이렇게 몸과 마음은 서로 영향을 주는 것이다. 성선의 활동이 왕성하면서도 전혀 성욕이 ..
2022.10.14 -
8. 무심과 망아(무기정)의 차이점
무심이란, 분별의 마음이 없는 것이다. 그것은 단지 분별이 없다는 것이 아니고, 분별에 입각해서 분별심을 일으키지 않는 것, 선과 악에 집착하지 않는 것이다. 무심은 마음이 지극히 청허하고 고요하여 명경지수와 같이 오직 정한 상태이다. 무심을 아무 생각도 없는 것이라고 착각하는 사람들이 있다. 무심이란 아무 생각도 없는 것이 아니라 一念 즉 하나로 모아진 마음이다. 아무 생각도 없이 다 놓아 버림으로써 자기 자신마저 잊어버린 상태를 무기정 또는 망아라고 하는데, 수련할 때의 금기 사항이다. 무심을 할 수 있으면 이미 수련이 갚은 상태이지만, 수련 중에 무심의 상태를 지속하기 위해 가장 중요한 것은 시선이다. 시선은 눈을 감았던 떴던 간에 한 곳에 계속 고정되어 있으면 고요히 지킬수 있다. 그런데 생각이 ..
2022.10.14 -
7. 입정이란 무엇인가
수련하는 사람이 그 도를 성취하려면 먼저 정으로 들어가는 수련을 쌓아야 한다. 정의 상태에 들어가는 것을 입정이라고 한다. 정이란, 어떤 사물을 대할 경우 그 사물의 시비 흑백을 올바르게 분간할 수 있는 의식 그 자체는 없애지 않고, 오직 그 사물에 집착하지 않는 마음, 즉 마음이 지극히 청허하고 고요하여 명경지수와 같은 경지를 말한다. 정을 구한다고 하면 선원이나 혹은 조용한 산중 등 고요한 환경을 찾기도 하지만 선도수련에 있어서는 때와 장소가 따로 있는 것이 아니다. 도심 한가운데서도 정을 구할 수가 있는 것이다. 듣고, 보고, 행하면서 선도수련의 이치를 알고 수련하면 그것이 정인 것이다. 정의 상태에서 발현되는 것들에 대해 살펴본다. 1. 생장 모든 생명력의 원천은 정속에서 자란다. 자연계의 동물...
2022.10.14 -
6. 관법
관(觀)이라고 하면 명상이나 선(禪) 또는 선(仙)의 의미로 이해되는 경우가 많다. 그것은 그러한 수행 자체를 뜻하거나, 수행 방법을 뜻하는 말로 쓰이고 있기 때문이다. 이렇게 해석되어질 때의 관은, 낙도(樂道)와 신통(神通)을 포한해서 여러 매력적인 영역으로 이끄는 수단이 된다. 그래서 가장 실천하기 어려운 관이 가장 매력적인 수단으로 인식되기도 하는 것이다. 관이라는 말은 이렇게 넓은 영역에서 여려 의미로 쓰여지고 있다. 이제 선도수련에 앞서 정(靜)에 드는 방법으로서의 관법의 의미와 방법을 살펴본다. 관(觀)이란 것은 한마디로 설명할 수 없는 오묘한 것이지만 대충 요약하면 "보는 것도 아니고 안보는 것은 더욱 아니다. 그러나 보고 있는 것이다"라고 요약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그 뜻이 오묘하고 또..
2022.10.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