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진실(124)
-
7. 음기수련
북창 정렴의 용호비결 비판 7. 음기수련 사이비수련을 하는 사람들은 기의 다양함을 모르지만, 힘도 중력, 전자기력, 강력, 약력 등 다양한 것처럼, 기도 양기(진기), 음기(탁기), 신기(영적기운) 등 여러가지 종류가 있습니다. 수련의 방법에 따라서 터득하게 되는 기운들은 느낌상 각각 독특한 특징이 있어서 올바른 수련을 하여 심신이 맑아진 사람은 타인의 기운이 어떤 종류의 수련에 의한 기운인지 알아차릴 수 있습니다. 첫째, 양기(진기)는 수련자가 무념무상의 상태에서 시선과 의식을 오직 하단전에 집중하고 올바른 호흡을 통하여 깊은 정(선정)에 들어갈 때 연정화기에 의하여 하단전에서 생성되는 기운이며 따뜻함이 대표적인 특징입니다. 둘째, 음기는 수련자가 의념으로 몸의 특정한 혈이나 기맥을 열고 의식..
2022.10.19 -
6. 진실과 거짓
북창 정렴의 용호비결 비판 6. 진실과 거짓 "생각 즉 의념으로 주천하는 것을 가기, 가주천, 공차를 돌린다고 한다. 공차를 돌려도 건강이 좋아지고 여러 가지 현상이 나타나며 영적인 현상 등이 나타나므로 진기를 돌리는 것과 흡사하다. 심지어 도태까지도 되나 가 임신과 같은 현상이 되어 임신은 되나 아이는나오지 않는 것과 같은 현상이 된다" (출처: 수진비결 요약) 잘하면 건강에는 도움이 될 수 있는 의념주천도 함부로 하면 건강을 해치게 됩니다. "기를 내리는 데는 몸 앞쪽의 임맥을 쓰고 위로 올라가게 하려면 몸의 뒤쪽에 있는 독맥을 사용하는 것이다. "임맥과 독맥이 모두 통하게 되면 수명을 연장하고 죽음의 기한을 물리칠 수 있게 된다." 이것은 진실 된 것으로 북창이 직접 경험해 보지는 못했겠지만 용호비..
2022.10.18 -
5. 지식호흡과 의념주천
북창 정렴의 용호비결 비판 5. 지식호흡과 의념주천 당시에는 요즘보다 사마외도가 더 성행하였던지 북창은 중금속을 사용하여 만든 선약을 먹고 요절하는 사람이 있다고 탄식을 합니다. "기식 가운데에서 단을 수련해야 함을 알지 못하고 밖으로 금석에서 단을 구하였기 때문에" 그러나 북창이 정법으로 알고 있었던 지식호흡과 의념주천도 또한 수천년 전부터 오늘날까지 사이비들이 유행시키는 사법입니다. 이런 사법은 선도와 인연이 없는 사람이 사욕을 채우기 위한 수행을 하다 빠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아랫배의 복압력을 이용하여 강제로 선천기를 돌리는 올챙이 호흡법이나 지식호흡을 하면 젊은 사람들은 당장 여러가지 기적경험을 하게 되고, 의념주천은 상상력이 풍부한 사람은 금방 주천과 비슷한 경험을 하게 됩니다. 그런 장점..
2022.10.18 -
4. 단과 사리
북창 정렴의 용호비결 비판 4. 단과 사리 선도계의 내단파는 오래전에 기혈에 약(외약. 불씨)을 넣고 불질(소주천)을 하면 단(소약)이 만들어진다는 것을 알고 있었습니다. "이 약을 솥(단전기혈) 안에 넣고서 소주천의 화(火)를 행(行)하여 삶고 단련함을 외단(外丹)을 단련한다고 하는 것이며, 그 이후에 외단의 화가 넉넉하여 약(藥:소약)이 이루어지면 그때에서야 비로소 순양의 진기라고 할 수 있는 것이다"(천선정리 제2장 약물직론에서) 그러나 북창은 기경팔맥을 개통하는 올바른 선도수련을 한 경험이 없기 때문에, 불구슬이나 소약을 경험하지 못해서 '단'에 대한 확신이 없습니다. "문득 듣자 하니 이른바 "화火로써 약을 고며 단으로써 성도한다"는 말은 신으로써 기를 제어하고 기로써 신을 형체에 머물게 하여 ..
2022.10.18 -
3. 단전과 배꼽
북창 정렴의 용호비결 비판 3. 단전과 배꼽 옛날에는 "눈으로 어느 곳(하수처)을 관하느냐"가 선가의 비밀이었기 때문에 정통 선가 사람이 아니면 정확한 단전의 위치를 모릅니다. 상.중.하단전 어느 곳을 관하느냐는 지금도 수련의 종류와 성패를 결정짓는 중요한 문제입니다. 북창은 그 시대에 유행한 사이비수련을 했기 때문에 정확한 하단전의 위치도 모를 뿐만이 아니고, 그나마 하수처도 오락가락 합니다. "기가 아래로 내려가 중궁에 있도록 힘써서 비장과 위장이 화창하고 혈맥이 잘 순환하게" "반드시 신과 기가 배꼽 아래 단전 가운데 머물게 하면 몸의 위쪽에 있는 풍사가" 위와 같이 기가 아래로 내려가 중궁에 있어 한다고 했다가 배꼽 아래 단전에 신과 기가 머물게 해야 한다고 횡설수설합니다. 이것 때문에 연정원에서..
2022.10.18 -
2. 요절과 선화
북창 정렴의 용호비결 비판 2. 요절과 선화 대부분의 고서에는 도교의 영향을 받아서 정법수련으로 높은 경지를 이루면 장생불사 한다고 되어 있습니다. 실제로는 수련을 잘 하면 기경팔맥과 12정경에 진기가 원활히 유통되면서 심신이 건강해져 무병장수는 하게 됩니다. 오늘날 인간의 최대수명이 120-130년으로 알려져 있고, 국내에 100세 넘은 장수노인이 2만명 (2020년) 이상이며, 일본은 7만(2019년)을 상회한다고 합니다. 일반인도 이런 정도이니 선도 수련으로 높은 경지(대약이상)를 이루었다고 인정 받으려면 최소한 100세는 건강하게 살아야 합니다. 옛날부터 100세 넘은 수행자를 '벽사도인'이라고 하며 그가 쓴 글이나 그림은 귀신을 물리치고 집안에 복이 들어온다고 하여 높은 값으로 거래되었다고 합니..
2022.10.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