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도실(124)
-
3. 대주천 수련과정 4) 대약복식.성명합일.대약완성
4) 대약복식. 성명합일. 대약완성 양광3현이 있은 후에, 대약이 처음 발생한 때는, 기혈 속에서 선회하는 움직임이 있기도 하고, 기혈 밖으로 나와서 뱃속을 돌아다니기도 한다. 이 때 기혈에서 가벼운 동통을 느끼기도 하는데, 이런 증상들이 일어날 때는 고요히 지키고 기다려 주면 바로 기혈에 입실하여 제자리를 잡게 된다.그 후에, 고요히 정을 지켜 주면 대약이 움직이기 시작하는데, 이 때가 복식할 때이다. 이 때는, 대약이 스스로 움직이는 것을 고요히 지켜보고 있어야 하는데, 일념으로 의식이 흩어지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독맥을 지나, 옥침혈을 통해, 니환궁에 들어가면 머리 속에서 입천장 부근으로 물방울이 방울방울 떨어져 내리는 느낌이 드는데, 이 때는 침도 많이 나온다. 이 물방울을 금액옥로하고 하는데..
2022.10.14 -
3. 대주천 수련과정 3) 양광삼현
3) 양광삼현 3차 채약을 한 사람은 오직 정하고 정한 몸과 마음으로 단전을 지키면서 온양. 목욕법으로 수련한다. 온양. 목욕법으로 입정하여 고요히 지키고 있으면 세 번의 양광이 나타나는데, 이것은 대약6경 중의 대표적인 현상이다.양광이 나타나는 곳은 양미간 사이이다. 양광이 나타날 때도 의식은 하단전에서 떠나면 안 된다. 오직 고요히 지켜보고 있어야 한다.양광 1현은 백색에 가까운 빛이 양미간 사이에서 번쩍인다. 개개인에 따라 다르나 보통 3번 다 비슷하게 나타나기도 한다.양광 2현은 고요한 가운데 하단전에서 빛이 올라오는데, 눈에서 그 빛이 비쳐지는 모습은 마치 손전등으로 기혈을 비춰 주는 것 같기도 하고, 또 붉은 태양이 떠올랐다가 서서히 기혈로 떨어지는 모습으로 나타나기도 한다.양광 3현이 나타..
2022.10.13 -
3. 대주천 수련과정 2) 삼단전 형성 및 합일. 대약채약
2) 삼단전 형성 및 합일. 대약채약 주천을 거듭 행하고, 몸 안의 진기와 우주의 정화가 한데 어울려 하단전이 충실해지면, 상단전이 개발되기 시작한다. 상단전을 개발한다고 하지만 이미 소약 주천을 통해 청정하게 정화되었으며, 여기서 개발이라는 말은 상단전에 구슬이 맺혀지는 현상을 의미한다. 상단전 개발이 절정에 이를 때면, 중단전이 개발되기 시작하는데, 상단전과 중단전은 거의 동시에 개발이 끝난다. 이렇게 하여 상단전, 중단전, 하단전에는 각각 하나의 구슬이 맺혀진다.수련이 진행됨에 따라 세 개의 구슬이 하단전에서 하나로 합쳐지면 이때가 대약 채약하는 때이다. 이 때 오로지 정을 잃지 않고 단전을 지키고 있으면 구슬이 나타나는데, 이를 취하여 단전에서 삶고 찌듯이 온양. 목욕하는 것을 채약이라고 ..
2022.10.13 -
3. 대주천 수련과정 1) 소약주천
1) 소약주천 소약이 주천하는 것을 소약 주천 또는 대주천이라고 한다. 이 때부터는 고요히 지키고 앉아서 기다리다가 소약이 움직이는 기틀이 있으면 호흡하여 주천을 행한다. 이 때는 코와 입에서 바람결이 없는, 고요한 진식이 이루어진다.진식은 내호흡으로, 몸 속 깊숙한 곳에서 이루어지는 기혈 호흡이다. 소약은 스스로 화후를 갖추어 호흡한다. 그러므로 몸과 마음을 고요하게 편하게 가져 소약이 스스로 호흡할 수 있도록 기다리는 것이다. 소약이 몸 안에서 주천할 때는 바깥 기운 즉 우주의 정기도 상응하여 함께 운행한다. 그래서 소약 주천을 대주천이라고도 하는데. 소약이 우주의 오행 기운과 합하여지고 기혈에서 신과 결합하게 되면 대약을 완성하게 되는 것이다.일단 기혈에서 소약이 움직이면 주천을 행해야 하는데..
2022.10.13 -
2. 소주천 수련방법 5) 기혈법과 소약채약
5) 기혈법과 소약채약 소주천을 이루고 나면 매 수련마다 2-3번의 주천을 행하여 혈과 기맥을 충분히 열어 주도록 하며, 주천이 끝난 다음에는 문화로써 봉고를 하여 회풍에(수진비결 요약 회풍이란 무엇인가를 참고) 의한 소약의 형성에 들어간다. 이 때부터는 기혈법으로 수련한다. 계속되는 주천으로 기맥이 청소. 개발. 변화되어, 몸이 한결 편해지며, 수련 중에 자연스럽게 기맥에 진기가 흘러 소주천이 되는 것을 느끼게 된다. 의식과 시선과 청각을 단전에 집중하고 있으면 임. 독맥에는 진기가 하나의 원을 형성하고 돌고 있음을 느끼게 되며, 상으로 나타날 때는 빛의 고리로 보여진다. 이렇게 진기 주천을 행한 다음 봉고할 때는,기혈에서 진기가 불씨를 감싸고 하나의 덩어리가 형성되어 간다. 이 느낌은 뱃속에서 약물이..
2022.10.13 -
2. 소주천 수련방법 4) 임독개통, 충맥타통, 전신주천
4) 임독개통, 충맥타통, 전신주천 대맥이 개통되어 대맥을 따라 도는 기의 힘은, 독맥으로 기가 상승하도록 하는 펌프의 역할을 하게 되어 임. 독맥을 개통하는 임독개통을 시작하게 된다. (정법이란 무엇인가 소주천의 증상를 참고) 이 때는 음식물을 섭취하면 그 기운을 불씨가 흡수하여 아랫배에 진기가 피어나며, 이로 인해 기분이 좋아지며 매사에 자신감이 더해 간다.거듭된 수련으로 진기가 뜨거워질 대로 뜨거워진 순양의 상태에 이르면, 마침내 그 뜨거움은 사라지고 시원하고 상쾌하기 그지없는 순음의 상태로 변하게 된다.독맥을 타고 올라갈 때는 뜨거운 상태로 순양지기라고 하며, 임맥을 타고 내려올 때는 시원해지며 순음지기라고 한다. 이 때가 바로 목의 때이다. 임독개통이 제대로 이루어지고 온몸에 진기가 꽉 차게..
2022.1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