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도실(124)
-
15. 기의 분류
기는 여러 가지 기준에 의해서 분류될 수 있으나 선도수련에 있어서의 기를 청탁(淸濁)으로 분류, 설명하고자 한다. 선천일기(先天一炁)가 생성하여 후천기(後天氣)가 되고, 후천일기가 변하여 만물이 형성 된다. 선천기는 청탁(淸濁)의 구별이 없으나, 후천기는 청탁(淸濁)의 성질을 띄게 된다. 기는 맑(淸)으면 우리몸에 좋고 탁(濁)하면 우리몸에 좋지 않다. 이를 정리하면 아래와 같다. 청기 (양기) : 순양진기, 순음진기 탁기 (음기) : 신기, 사기 1. 청기(淸氣)는 순양진기(純陽眞氣)와 순음진기(純陰眞氣)로 나누어진다. 순음이 극에 달하면 순양이 되고 순양이 극에 달하면 순음이 된다. 독맥(督脈)으로 타고 올라 갈 때는 순양진기(진양화)라 하며 임맥(任脈)을 타고 내려올 때는 순음진기(퇴음부)라 한다...
2022.10.15 -
14. 채약법
채약이란 단전에 저장된 정을 온양하여 진기로 만드는 과정을 말한다. 이 때 나타난 진기를 약이라고 하는데 이것을 채취하여 주천을 행한 다음 단전에 입실시켜 그 곳에 자리잡도록 한다. 채약 중에서 주요 과정은 불씨 단계,소약 단계, 대약 단계의 세과정이 있다. 불씨 채약의 방법 처음 수련을 시작하여, 수련이 거듭됨에 따라 충만해진 정으로 인해, 차가웄던 몸에 양기가 피어나 손이나 미려혈에서는 따뜻한 기운이 느껴진다. 수련이 지속됨에 따라 양기는 후끈후끈한 열기로 변하고, 열기는 뭉쳐서 뜨거운 덩어리를 형성하게 되는데 이 때가 불씨를 얻을 때이다. 불씨가 있어야 연단법을 시작할 수 있게 되는데, 불씨를 얻는 방법은, 1)고요히 심신을 합일시키고 의식을 단전에 집중하면, 단전에 있던 뜨거운 열덩어리에 최초의 ..
2022.10.15 -
13. 활자시 수련법
자시는 시간상 밤 11시에서 새벽 1시 사이이다. 가장 깊은 밤, 즉 밤이 극에 달하면 하루가 끝나고 새로운 하루가 태동하는 시간으로서 일기가 태동하는 시기이다. 음이 극에 달하면 양이 태동하고 양이 극에 달하면 음이 태동하는데 이것을 음속에 양이 있고 양속에 음이 있다고 한다. 여기서 하루의 자시와 수련자의 자시를 동일하게 생각하면 안된다. 사람은 잠을 잘 때 단전이 움직이기 시작하여 기가 온몸을 청소하여 주므로 피로가 회복되며 내일을 준비하게 된다. 내 몸의 자시는 피로했거나, 가장 고요하게 쉴 때, 다음을 위하여 휴식을 취할 때 무엇인가 새로운 것이 싹트는데 이러한 현상을 활자시라 하고 모든 사람은 자기만의 고유의 자시가 있다. 이것을 강조하기 위하여 진활자시(眞活子時)라 한다. 내 몸의 자시를 찾..
2022.10.15 -
12. 여자의 수련법
음양오행에 남자는 양이고 여자 음이니 소주천을 하는 경우에 '여자는 남자와 반대로 돌려야 한다' 고 주장하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수련이란 무념무상으로 하여야 한다는 기본을 무시하고, 소주천이란 임독맥을 돌리는 것이라는 표현대로 의식적으로 주천을 시키는 등 의념수련을 하는 것에서부터 문제가 발생하는 것입니다, 여자의 수련은, 꼭 필요한 것은 아니지만, 감정을 다스리기 위해 단중에 집중하는 수련을 일정기간 하고나면 남자 수련법과 거의 같은데, 다른 점 만을 설명 하자면, 1.좌공의 자세 결가부좌는, 남자는 오른발을 왼쪽 허벅다리 위에다 먼저 올려놓은 다음 왼발을 오른쪽 허벅다리 위에 올려놓는다. 여자는 그 반대로 합니다. 반가부좌는, 남자는 오른발을 끌어당겨 뒤꿈치가 회음 부위에 닿도록 놓고 왼발을 오른쪽 ..
2022.10.14 -
11. 의념주천이란 무엇인가
생각 즉 의념으로 주천하는 것을 가기, 가주천, 공차를 돌린다고 한다. 공차를 돌려도 건강이 좋아지고 여러 가지 현상이 나타나며 영적인 현상 등이 나타나므로 진기를 돌리는 것과 흡사하다. 심지어 도태까지도 되나 가 임신과 같은 현상이 되어 임신은 되나 아이는나오지 않는 것과 같은 현상이 된다. 정법만 공부가 되는 것이 아니다. 음도도 4신통, 무기정(망아)도 5신통을 할 수 있다. 꼭 정도만 능력이 나오는 것이 아니고 특히 정도는 마지막 관문을 열기까지는 거의 힘을 못쓴다. 왜냐하면 공부자체가 갖고 있는 힘으로 바른 길로 가도록 스스로 보호하여 다른 데로 소모를 못하게 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가장 빠른 것은 마도나 사도이며 이런 종류의 공부는 한가지만 읶혀도 바로 사용할 수 있다. 그래서 사람들이 유혹에..
2022.10.14 -
10. 봉고란 무엇인가
단전호흡이든 준비단계의 기본운동을 하든간에 모든 운동이나 수련의 마무리를 위하여 봉고를 하고 끝마쳐야 한다. 봉고(封固)란 꼭 닫아 지킨다는 말이지만, 그 의미는 불씨가 오래 가도록 잿속에 불씨를 묻어 둔다는 뜻으로 사용된다. 평상시 봉고는 준비운동이나 주천이 끝나고 수련중에 온몸에 퍼저 있는 진기를 기혈에 입실하도록 하기 위하여 문화(文火)로서 고요히 지켜보며 기다려 주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봉고를 폐기(閉氣)라 한다. 폐기란 기운을 닫는다는 의미로서 기가 단전에 머무도록 하는 것이다. 봉고를 할 때는, 단전에 의식과 시선을 집중한 상태로 호흡만 자연호흡으로 바꾸어 주고, 가만히 기다리면 따스하던 손바닥이나 미려혈이 차츰 식어 가면서 기는 단전에 모이게 된다. 봉고는 진기가 완전히 단전에 입실할 수..
2022.10.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