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도실(124)
-
21. 혼침이란 무엇인가
몸이 피곤하면 잠이 오는데, 마음이 피곤해도 잠이 온다. 잠이 올 때는 억지로 수련하지 말고 푹 잔 후에 수련한다. 수련 중에 잠드는 것이 습관이 되면 참으로 고치기 어려워진다. 혼침은 한 곳에 마음을 집중하지도 못하고 그렇다고 특별한 망상이 있는 것도 아닌 단지 혼미할 뿐이며, 심지어는 몸도 마음도 느끼지 못하는 상태이다. 혼침의 현상이 생길 때는 환상 등을 볼 수가 있는데 이 때는 의식이 분명하지 못하여 잠재 의식만이 작용하기 때문이다. 혼침을 定의 상태로 착각하여 마치 무엇을 이룬 것처럼 생각한다면 그야말로 슬픈 일이 아닐 수 없다. 어떤 사람이 수련 중에 상을 보았다고 말하면, 이러한 감각적 현상을 듣고 이런 것들을 부러워하고 추구하다가는 혼침에 빠질 수 있으니 조심해야 한다. 수련자는 몸과 마음..
2022.10.15 -
20. 지식과 폐식의 차이점
호흡 수련은 먼저 부드럽고(고르며,조용하게)미세하게 시작해서 점점 길고 깊게 이어가며 하는데, 수련이 끝날 때는 다시 부드럽고 미세하게 끝낸다. 수련 중에 호흡이 깊어지면, 자연스럽게 호흡이 들이쉬어졌다가는 멈추는 듯하고 멈추는 듯하다가는 내쉬어지고 하는 율동이 생기는 상태가 좋은 호흡입니다. 1.지식 주천을 행할 때 막힌 혈을 뚫기 위해 사용하는 온양법으로 지식이 있다, 지식은, 유기라고도 하며, 숨을 들이마신 후 멈춘 상태에서 막힌 혈에 기가 머무르고 증폭되도록 하는 호흡이다. 이렇게 증폭되어진 기는 무식에 의해 운행되어지는 기보다 강한 힘이 나타난다. 이 때 주의할 것은 기도가 열려 있어야 하며 호흡에 힘이 들어가서는 안 된다. 이런 호흡은 혈이 뚫릴 때 까지만 지속한다. 2.폐식 폐식은, 숨을 들..
2022.10.15 -
19. 일반적인 기공병과 주화입마
1)상기병 아랫배가 많이 나오게 힘을 주어서 (강한 복압력이 생기는) 들숨을 하거나, 폐식이나 지식위주의 호흡을 한다거나, 의념주천을 하거나, 상단전에 의식을 집중하면 상기병에 걸리는 경우가 많다. 이런 사람들은 혈압이 높아지고 얼굴이 붉은색을 띄고 있는 것을 혈색이 좋은 것으로 오인한다. 상기병의 특징은 얼굴색이 붉게 되거나, 눈이 충혈 되고, 머리가 아프거나 어지럽고, 물체가 둘로 보이기도 하며, 신경이 예민해지는 징후 등이 있고. 대체로 이런 증상은 오전보다는 오후에 더 심해진다. 2)냉증(음체) 몸 외부의 기운을 끌어들이는 외도수련에 의하여 몸에 음기가 쌓이면 온몸이 점점 차갑게 변하여 간다. 무겁고 차가운 성질을 지닌 음기 때문에, 기혈순환이 잘 되지 않고 면역력이 저하되어 (소화불량과 감기를 ..
2022.10.15 -
18. 정법수련으로 나타나는 일반적인 현상
1)잠 수련을 시작하면 금방 잠이 오는 경우가 많다. 심신이 피곤한 사람이 수련을 하면 양기의 영향으로 잠을 많이 자게 된다. 따라서 몸관리를 잘하는 것이 수련의 시작이다. 2)신체의 따뜻한 느낌 수련 초기에 양기가 음기를 몰아낼 때는 몸이 서늘하고 손발이 차갑게 느껴지고 그 이후에는 따뜻한 느낌이 생긴다. 3)신체의 통증 신체의 어느 부위가 아파오는 경우가 있다. 이는 과거에 병이 있는 부위에 생기는 경우가 많으며 차츰 치료가 되면서 사라지게 된다. 호전현상이라고도 한다. 기맥과 혈이 처음 개통될 때도 중요한 혈자리 또는 허리나 어깨 부위에 심한 통증이 생기는 경우가 많다. 4)진동 현상 미세경락이나 기맥이 개통될 때 막혀있던 혈과 경락이 풀리면서 가벼운 떨림이나 흔들림이 생긴다. 이런 진동은 무심히..
2022.10.15 -
17. 상이란 무엇인가
수련 중에 때때로 영상을 보게 되는 경우가 있다. 어떤 빛이거나 색, 또는 어떤 사람이나 물건이 보이기도 한다. 심지어는 어떤 예언적인 사실을 알게 되기도 하여 천안통을 이루었다고 착각하기도 한다. 수련중에 상을 보는 경우는 몇 가지가 있다. 1.상상하여 만든 영상이나, 잠재 의식에서 떠오르는 영상이 있다. 2.기가 뇌신경을 강하게 자극할 때 나타나는 영상이 있다. 3.수련의 진도가 영상으로 나타난다. 4.육안으로 볼 수 없었던 실재의 세계가 보여진다. 이러한 영상들은 천목에 비쳐지는데, 천목은 두 눈썹 사이의 약간 위쪽에서 머리 중심 안쪽으로 두 치 정도 들어간 자리에 있다. 흔히 제3의 눈이라고 말한다. 수련을 잘하여 심신이 고요해지면 천목도 밝아지는데, 천목이 밝아지면 지금까지 육안으로 볼 수 없었..
2022.10.15 -
16. 선도수련의 분류
"단학수련" "단전호흡"은 선도의 다른 이름이다. 선도란 한마디로 신선의 경지에 이르는 길, 곧 선인이 되는 방법을 뜻한다고 할 수 있다. 그래서 신선도라고 부르기도 하는 선도는 성명쌍수를 위주로 하는 수련의 방법 체계이다. 바로 정신과 육체를 함께 수련함으로써 깨달음과 영원한 생명을 추구한다. 이를 위해 선도는 단전. 기맥. 기를 토대로 하여 그 수련 체계를 세워 놓았는데, 이러한 수련법에 관계되는 여러 사항은 안타깝게도 과학적인 면에서 아직도 밝혀지지 않는 것들이 많다. 그러나 선도는 우리나라에서 전통적으로 전해 내려오는 선도사상의 실천적 수련방법이며, 5천 년 이래로 무수한 고선인들의 연구와 체험에 의해 결정된, 고도의 과학적이며 학술적인 심신 수련의 방법 체계라고 말할 수 있다. 수련법은 크게 2..
2022.1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