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256)
-
6. 밀교의 중맥 수련법
중맥수법 개요 중맥은 서장밀교에서 명맥(命脈),대도맥(大道脈)이라 하고, 범어로는 아푸또우디(afudoudi)라 하며 티벳어로는 우마(wuma),건다마(gendama),수오수오마(suosuoma)라 한다. 이러한 명칭은 모두 중맥의 중요성과 공능을 표시하고 있다. 예를 들어 명맥은 중맥이 일체 중생의 생명의 근원이라는 것을 표시한다. 위 중맥의 명칭들 중 대도맥은 그 중요성을 표시한다. 즉, 중맥이 성불의 지름길이라는 것을 말한다. 범어 아푸또우디는 중맥의 공능을 말하고 있다. 뜻은 모든 묘한 지혜를 만들 수 있다는 것이다. 티벳어 우마는 중맥이 성취의 어머니라는 뜻이며, 또 다른 중맥에 대한 티벳어 명칭인 건다마는 일체의 공덕지혜를 생겨나게 할 수 있으며, 일체 모든 것이 이곳으로부터 생겨난다는..
2023.01.19 -
21. 여동빈의 조식 요령
조식 요령 숨[息]이라는 것은 스스로의 마음이며, 스스로의 마음은 숨이 되고 있는 것이다. 마음이 한번 움직이면 곧 기가 생기게 되는데, 그 이유인즉, 기라는 것은 본래 마음이 변화하여 이루어진 것이기 때문이다. 우리들 사람의 생각은 그 움직임이 지극히 빨라서, 눈깜짝할 사이에 하나의 헛된 생각[妄念]이 생겼다가 사라지는데, 그러는 과정에 한 번의 호흡이 그에 따라서 이루어지게 된다. 결국, 하루에 몇만 번의 숨을 쉬니, 그 자체로써 몇만 번의 헛된 생각을 일으키는 것이다. 그와 같이 흘러서, 내면 세계의 밝음을 유지하는 정신이 다 새어나가 버리면, 마치 나무가 죽어서 마르는 것과 같고, 불 꺼진 재가 싸느랗게 식는 것과 같아진다. 그렇다고 생각이 없어지기를 바라겠는가? 생각을 없앨 수는 없다. 또한 숨..
2022.12.17 -
31. 자아 팽창
김진국의 심심(心心)파적 “잔뜩 부푼 풍선, 바늘만 갖다 대도 터진다!” 자아 팽창의 심리학448호 2022년 06월 15일사진 셔터스톡불교는 누구나 깨달음을 얻어 진정한 해탈에 이를 수 있다고 가정한다. 누구나 부처가 될 수 있다는 것이다. 자신의 힘으로 구원을 얻을 수 있다고 믿는다는 점에서 불교를 자력(自力) 종교라고 한다. 반면 기독교는 예수 그리스도 같은 구원자의 힘에 의해서만 구원이 가능하다고 보는 타력(他力) 종교다.당연하게도 이단이나 사이비 교주가 가장 설치는 종교는 타력 종교인 기독교일 것이다. 인류를 멸망의 심판에서 구해낼 구원자(메시아)를 자처하는 자들이 여기저기서 세상을 현혹한다. 사이비 종교 집단의 교주는 그럴싸한 감언이설로 신도들에게서 재물을 갈취하며 세력을 키운다.이들 중에..
2022.11.15 -
일일 수련기
방명록에 수련기를 쓰면 운영자가 이곳으로 이동시키고 조언을 드립니다. 수진비결로 공부하시고 어떤 느낌이나 기감이 생기면 수련기를 쓰세요.
2022.10.31 -
질의 응답
수진비결을 공부하시다가 의문점이 있으면 방명록에 올리세요. 운영자가 이곳으로 이동시키고 질문에 답을 드리겠습니다.
2022.10.31 -
37. 북두칠성님 수련기(전신주천. 기혈열기)
선도 체험기(전신주천. 기혈열기) 음교혈호흡 11 자연호흡, 가부좌자세, 눈을 감고, 심심을 안정시킨 후 수련시작. 기운의 흐름이 좋아지고, 대체로 기운이 시원하며 차갑기도 합니다. 상단전을 강하게 압박하는 기운이 많이 나타나고, 상단전 아래와 코를 압박하는 수준이 거의 뼈를 함몰시키는 듯 합니다. 머리혈의 기감도 날로 새롭습니다. 특히 날숨 때 압박이 조금 더 심합니다. 하단전의 기감은 커다란 물 풍선이 이리저리 부드럽게 꿈틀거리는 감각이기도 하고 압축할 때는 이 기운이 갑자기 차갑고 길다란 막대기 같이 위로 쭉 솟구치기도 합니다. 하단전을 돌아다니는 이 기운은 그 변화가 하도 다양해서 뭐라 표현하기가 어렵습니다. 당구공 같은 기운이 관원혈에 가득 차기도 합니다. 하단전의 기운이 ..
2022.10.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