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256)
-
15. 선도수련 호흡과 평상시 호흡의 차이점
선도수련 호흡과 평상시 호흡은 들숨에 배에 힘을 주지 않는 공통점이 있다. 즉, 올챙이 호흡을 하지 않고 자연스럽게 들숨을 한다는 점이다. 모든 종류의 수련은 깊은 입정에 들어가야 무언가 성취를 이룰 수 있다. 선도는 시선과 의식을 하단전에 집중하고 호흡하는 것이 다른 수련과 근본적인 차이점이다. 그래야 단전호흡이 되기 때문이다. 1. 의식의 집중선도수련 호흡은 단전이나 선골에 시선(눈)과 의식(마음)을 집중한다. 집중력이 좋을수록 깊은 입정에 들어가며 축기가 잘 된다. 2. 호흡의 방법선도수련 호흡은 배(아랫배와 윗배) 위주로 호흡을 하고, 평상시 호흡은 가슴 위주로 호흡을 한다. 3. 호흡의 기술선도수련 호흡은 평상시 호흡과 같은 부피의 공기를 가늘고 미세하게 호흡하여 시간상으로는 2-3배 정도로 ..
2023.05.15 -
11. 힌두 탄트라란 무엇인가
탄트라요가의 의미 訂蕁 (정담)추천 0조회 6608.02.27 15:29댓글 0 31. 탄트라요가의 의미 탄트라(tantra)는 ‘정신적인 지식’을 의미하는 산스크리트어 ‘tatri’ 또는 ‘tantri’에서 나온 말이다. 이러한 말들은 본래 피륙을 짜는 ‘날실’과 관계가 있으며 그 어원은 ‘넓힌다’라는 의미의 ‘tan’이다. 그래서 탄트라는 ‘지식을 넓힌다’라는 의미와 함께 ‘경전’이라는 의미도 갖고 있다. 그러나 전통적으로 경전을 지칭하는 ‘실’의 의미인 ‘sutra’와는 다르다. 수트라가 이론을 중심으로 하는데 반해 탄트라는 실천에 더 중점을 두었다. 그래서 수트라와 탄트라는 진리라는 옷감을 짜는데 불가분의 관계에 있는 씨실과 날실과 같은 역할을 한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의미의 탄트라는 7..
2023.02.04 -
10. (인도) 쿤달리니 요가란 무엇인가
1. 쿤달리니 요가 명상법 https://youtu.be/YfR-lTSgI00 https://youtu.be/I-7wW5cx-G4 2. 쿤달리니 요가 운동법 https://youtu.be/sEmyRM1YfQc?list=PLT-aT9BIjzyS432us2a4uzSGUXHhYkuuE https://youtu.be/uRMFKK_R8BM?list=PLT-aT9BIjzyS432us2a4uzSGUXHhYkuuE 3. 쿤달리니란 ? (편집) 1) 쿤달리니는 산스크리트어로 '감겨 있는'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샥띠(sakti) 여신 내부의 회음부에 세 바퀴 반의 똬리를 틀고 있는 뱀의 형상을 하고 있어 이를 쿤달리니 샥띠라고 합니다. 세 바퀴 반의 똬리는 인간의 깨어 있는 상태(jagrt), 꿈을 꾸는 상태(sv..
2023.02.04 -
9. 밀교의 좌식 기공수련
https://youtu.be/BESrdlf-cPg 겨울이 긴 추운 지방에서 발달한 실내 좌식기공 수련입니다. 참고 티베트 밀교의 무드라, 금강등정, 중맥수련, 흑교 본교파의 탄시법과 기체분리법, 뚬모수련 등 많은 수련법이 선도에서 유래 된 것으로 보입니다. 그러나 무드라는 지식호흡, 금강등정은 강호흡, 중맥수련은 음기수련, 본교파의 탄시법과 기체분리법은 의념수련, 뚬모수련은 복근의 힘으로 선천기를 유통시키는 기공수련으로 분류되며, 모두 정통 선도수련이 아니고 사이비 선도입니다.
2023.01.19 -
8. 밀교의 뚬모(툼모) 수련
티베트 밀교의 툼모 티베트 밀교 수행에서 중요한 툼모(tummo)도 단전에서 불을 일으켜 중맥 안으로 기운을 흘러들어가게 하는 수행이다. 그 불은 단지 몸을 따뜻하게 하려는 불이 아니라 단전에서 일으키는 지혜의 불로서 중맥 속으로 지혜의 기운을 흐르게 하는 수행이다. 쉽게 말하자면 명상을 통해, 체온을 높일 수 있다는 뜻이다. 디스커버리 채널에서는 자신들이 직접 촬영한 몇 가지 실례를 보여주었다. 한 가지는 눈 녹인 물에 수건을 적신 후, 티베트 불교승이 그것을 손으로 쥐어서 말리는 모습이었다. 수건을 짜내지도 않았으며 주변에 난방 도구는 전혀 없었다. 두 번째는 더 놀라웠는데, 승려들이 해발 3400~3500미터의 히말라야산맥에서 하룻밤을 자고 내려온 것이다. 이들은 티베트 승려들이 평상시에 입고 다니..
2023.01.19 -
7. 밀교 호흡법 - 무드라, 금강등정 호흡
밀교 호흡법 - 무드라, 금강등정 호흡 수진추천 0조회 26914.05.24 09:53댓글 1 밀교 호흡법과 단식 티벳에서는 본 수행을 하기 전에 예비적으로 수행에 입문하는 관정식과 만트라 등의 수행, 그리고 생기열生起熱 수련인 기 수련을 필수적으로 한다. 한국에서도 단전호흡을 널리 수련하고 있는데 이 수련을 하고 나면 몇 가지 이익이 있다. 첫째, 건강해진다. 몸이 쇠약해지면 정신도 쇠약해진다. 기 수련을 하면 체질이 개선되어 수행 효과가 빠르게 나타난다. 둘째, 몸에 기운이 유통되면 정신력도 강해지고 정신 통일도 잘된다. 특히 상단전이 잡히면 정신 통일에 일대 혁신이 온다. 셋째, 기 수련을 하면 우선 관찰하기가 쉬워지고 수행이 깊어질수록 기와 마음의 합일점과 갈림길을 스스로 알게 되어 올바른 수행의..
2023.01.19